전역 속성: HTML 바디 안에 있는 태그의 안에 제한 없이 사용가능 한 속성 title : 요소의 정보나 설명을 지정 style : 요소에 적용할 스타일(css)을 지정 class : 요소를 지칭하는 중복 가능한 이름 css, js 제어하기 위해서 id : 요소를 지칭하는 고유한 이름 data-이름 : 요소에 데이터를 지정 값으로 데이터를 넣는다 저장하는 용도 js에서 사용을 한다 참고 사이트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ML/Global_attributes 전역 특성 - HTML: Hypertext Markup Language | MDN 전역 특성(Global attributes)은 모든 HTML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는 특성입니다. 그러나 일부 ..
div (Division) - : 특별한 의미가 없는 구분을 위한 요소 (block 요소) 어떠한 영역을 나눌 때 사용 문장인가? 뭐지 헷갈릴땐 그냥 div 쓰기 h1 (Heading) - : 제목을 의미 하는 요소(block 요소) 목차 역할 숫자가 커질수록 부제목 숫자가 작을 수록 중요한 제목이다. p (Paragraph) - : 문장을 의미하는 요소 (block 요소) 문장을 묶어주는 요소 ul (Unodrdered List) / li (List Item) - : 순서가 필요없는 목록의 집합을 의미(block 요소) 주관적인 순서일경우 많이 사용 - : 목록 내 각 항목 (block 요소) img (Image) - : 이미지를 삽입하는 요소 (inline 요소) 필수 속성 src: 이미지 소스의 파..
글자와 상자 요소가 화면에 출력되는 특성이며 크게 2가지로 구분 인라인 요소(글자) : 글자를 만들기 위한 요소 블록요소 (상자) : 상자(레이아웃)를 만들기 위한 요소 inline 요소 - :대표적인 인라인 요소 본질적으로 아무것도 나타내지 않는 콘텐츠 영역을 설정하는 용도 요소가 수평으로 쌓임 줄바꿈 하게 되면 띄어쓰기가 된다 가로 세로 사이즈가 포함한 콘텐츠 크기만큼 자동으로 줄어듦 가로 세로 사이즈를 지정할 수 없다 margin, padding은 위아래 여백 추가 불가, 좌우 가능 인라인 요소 안에는 블록 요소를 사용할 수 없다 (예외가 있긴 함) 인라인 안에 인라인 가능하다 block 요소 - :대표적인 블록 요소 본질적으로 아무것도 나타내지 않는 콘텐츠 영역을 설정하는 용도 요소가 수직으로 쌓..
- 빈태그 : 위에 태그처럼 종료태그 없이 쓰이는 태그 빈태그 종류 빈태그 쓰임새 이미지의 핫스팟 영역을 정의하고 하이퍼링크를 추가할 수 있습니다. 요소 안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문서 안의 모든 상대 URL이 사용할 기준 URL을 지정합니다. 문서에는 하나의 요소만 존재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안에 줄바꿈(캐리지 리턴)을 생성 표의 열을 나타내며, 열에 속하는 칸에 공통된 의미를 부여할 때 사용합니다. 안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외부 어플리케이션이나 대화형 컨텐츠와의 통합점을 나타냅니다. 이야기 장면 전환, 구획 내 주제 변경 등, 문단 레벨 요소에서 주제의 분리 문서에 이미지를 넣습니다. 웹 기반 양식에서 사용자의 데이터를 받을 수 있는 대화형 컨트롤을 생성 요소는 , , , , 과 같은 다른 메..
내용 : 부모요소 (상위, 조상 요소) - 자식 요소를 감싸고 있는 요소 : 자식 요소 (하위, 후손 요소) - 부모 요소 안에 있는 요소 부모와 자식관계는 상대적인 개념이다 한줄로 쓰면 부모와 자식 관계 찾기 찾기 어렵기 때문에 들여쓰기 하자 - 가독성과 같이 협업하는 개발자를 위해서!! 내용 내용 태그가 바라봤을 때 , : 상위(조상) 요소 태그가 바라봤을 때 , : 하위(후손) 요소 TIL keypoint 부모와 자식 관계는 상대적이다. 느낀점 -코드를 쓸때 나만 생각하는게 아니라 협업하는 사람 혹은 내 코드를 볼사람을 위해 가독성이 중요하다는 걸 알았다 오늘의 학습 만족도 ⭐⭐⭐⭐⭐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정의 - 웹페이지의 구조를 지정하는 기술적인 언어 - HyperText : 웹 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연결하는 링크 - Markup Language : 태그 등을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의 구조를 명기(明記)하는 언어 => 웹페이지를 다른 페이지로 연결하는 링크와 태그 등을 이용하여 문서나 데이터를 분명하게 적는 언어 HTML 구조 : 문서의 HTML 버전을 지정한다. DOCTYPE(DTD Document Type Definition)은 마크업 언어에서 문서 형식을 정의하며 웹브라우저가 어떤 HTML 버전의 해석 방식으로 페이지를 이해하면 되는지 알려주는 용도. (표준 HTML 5) ~ : 문서의 전체 범위 HTML 문서가 어디에서 시작하고 어디에서..
- Total
- Today
- Yesterday
- 국비지원
- GitHub
- Root_Component
- 컴포넌트
- CSS
- 그룹스터디_북스터디
- 메가바이트스쿨
- 개발자취업부트캠프
- 개발자치업부트캠프
- MegabyteShool
- export
- 스코프
- component
- 리액트
- 그룹스터디
- 내일배움카드
- shell command
- 북스터디
- MegabyteSchool
- react
- til
- 가상클래스
- 국비지원교육
- JSX
- Git
- html
- vim 편집기
- javascript
- 패스트캠퍼스
- git flow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