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 Flow 브랜치 모델 (Branch Model)이란 브랜치 이름, 브랜치 별 임무를 규정 => 브랜치 모델 중 가장 유명한 게 Vincent Driessen가 만든 Git Flow이다. 5종류의 브랜치 (프로젝트의 효율성을 올리기 위해 분류, 적절한 커밋 단위를 설정하기 용이) 작업은 feature -> develop -> release -> master 순으로 merge 시켜서 관리 master : 최종 product를 release 할 때 release 브랜치를 master 브랜치로 merge, 해당 버전에 대한 태그를 단다 develop : 기능 개발이 완료되면 feature 브랜치에서 기능별 브랜치를 만들어 작업 feature : 다가오는 배포(release)를 위한 새 기능(feature..

git != = github(Cloud Remote Repository Services) 버전컨트롤 시스템(git)과 웹서비스(github)은 다르다! Cloud Remote Repository Services -클라우드 원격저장소 시스템 Github: 비영리였지만, Microsoft에 인수된 가장 유명한 서비스 Bitbucket: Atlassian이 서비스. jira, confluence, trello 등 부가도구와 유기적( jira, confluence, trello 사용하는이유? 디자이너와 기획자가 쓰기 쉽다, 복합적인 규모(개발자,디자이너,기획자)의 회사에서 사용많이 한다. ) GitLab: GitLab이 서비스. 사설 서버 구성이 가능 git command { } 중괄호는 커멘드에 쓰는거 아님 ..

Shell command pwd (print working directory) : 현재 위치한 확인(디렉터리의 절대 경로로 출력) ls (list segment): 현재 위치 안에 파일이나 디렉터리 리스트를 출력 ls -a: ls 옵션 기능(?) 내가 하위에 존재하는 디렉터리 혹은 파일을 자세한 정보를 출력 . (dot): shell에서 의미하는 것은 현재 디렉터리를 의미하는 것 (. 점하나는. 현재 디렉터리.. 점 두 개는 상위 디렉터리) cd (change directory): 현재 위치한 곳에서 하이 도큐먼트로 이동 - cd ~ : 최상단 디렉토리로 이동(현재 로그인한 유저의 유저 디렉토리로 이동) mkdir (make directory): 디렉터리 생성 mv (move): 파일 이동 예) mv ...
- Total
- Today
- Yesterday
- JSX
- 가상클래스
- 스코프
- export
- git flow
- html
- shell command
- CSS
- vim 편집기
- 개발자치업부트캠프
- Root_Component
- 컴포넌트
- 메가바이트스쿨
- 북스터디
- 국비지원교육
- component
- MegabyteShool
- 그룹스터디
- MegabyteSchool
- til
- react
- 내일배움카드
- javascript
- 패스트캠퍼스
- 국비지원
- 리액트
- GitHub
- 개발자취업부트캠프
- Git
- 그룹스터디_북스터디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