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변수(Variable)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 자체 또는 그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을 말한다
(값의 위치를 가르키는 상징적인 이름)
변수는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 필요
컴퓨터는 메모리를 사용해 데이터를 기억 하며, 메모리셀 크기 즉 1바이트 단위로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읽어 들인다.
메모리란 데이터를 저장 살수 있는 메모리셀의 집합(메모리 셀 하나의 크기는 1바이트(8비트))
셀은 고유의 메모리 주소(memory address)를 갖는다 이 메모리 주소는 메모리 공간의 위치를 나타내며 0~메모리 크기만큼 정수로 표현한다 예)4GB 메모리는 0~4,294,967,295(0X00000000~0XFFFFFFFF)까지의 주소를 갖는다
컴퓨터는 모든 데이터를 2진수로 처리 (데이터의 종류와 상관없이)
변수이름(변수명)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값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한 이름
식별자
어떤 값을 구별하기 위해서 식별 할수 있는 고유의 이름
=> 식별자는 값이 아니라 메모리 주소를 기억
= 변수 이름에만 국한해서 사용되는 게 아니라 변수, 함수, 클래스 등의 이름은 모두 식별자
=> 메모리 상에 존재하는 어떤 값을 식별 할수 있는 이름을 식별자라한다
변수 값
변수에 저장된 값
할당 (assignment, 대입, 저장)
변수에 값을 저장하는 것
참조(reference)
변수에 저장된 값을 읽어 드리는 것
오늘 배우면서
key point
용어 정의 정확히 기억
식별자와 변수이름의 차이 기억
-식별자
어떠한 값을 구별하기위해 식별할수 있는 고유의 이름(메모리 주소를 기억)
-변수이름
메모리 공간에 저장된 값을 식별할 수 있는 고유의 이름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코프의 종류 (0) | 2023.01.01 |
---|---|
스코프 (0) | 2023.01.01 |
식별자 네이밍 규칙 (0) | 2023.01.01 |
값의 할당 (0) | 2023.01.01 |
변수 선언 (0) | 2023.01.01 |
- Total
- Today
- Yesterday
- 그룹스터디_북스터디
- Root_Component
- component
- 북스터디
- 그룹스터디
- 가상클래스
- MegabyteSchool
- vim 편집기
- 개발자취업부트캠프
- til
- 컴포넌트
- 스코프
- 패스트캠퍼스
- javascript
- react
- 메가바이트스쿨
- MegabyteShool
- 개발자치업부트캠프
- 내일배움카드
- Git
- CSS
- 국비지원교육
- shell command
- JSX
- 리액트
- git flow
- 국비지원
- export
- GitHub
- html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